프로젝트 배경
1) 문제점
- 고려대 의대 환경평가 시스템 상 입출력 정보 입력 어려움으로 효용성이 떨어짐
- 나이 드신 분들이 많은 만큼, 대화형 챗봇, 음성형 챗봇으로 관련 정보 수집과 환경평가를 하길 원함
2) 프로젝트 목표
- AI 챗봇과 고려대 의대 고객사 환경평가 시스템 API 연동 개발
3) 주안점
- 음성 입력 기능을 통해 단순 텍스트 입력뿐 아니라 음성을 통해서도 입출력을 구현
- 다양한 정보를 자연어 입력받더라도 고객사 API에 연동해야 하기에 정보를 API 입력 파라미터 값에 맞도록 AI 재 가공하는 작업이 필요
- 고려대 의대 환경평가 시스템 상 입출력 정보 입력 어려움으로 효용성이 떨어짐
- 나이 드신 분들이 많은 만큼, 대화형 챗봇, 음성형 챗봇으로 관련 정보 수집과 환경평가를 하길 원함
2) 프로젝트 목표
- AI 챗봇과 고려대 의대 고객사 환경평가 시스템 API 연동 개발
3) 주안점
- 음성 입력 기능을 통해 단순 텍스트 입력뿐 아니라 음성을 통해서도 입출력을 구현
- 다양한 정보를 자연어 입력받더라도 고객사 API에 연동해야 하기에 정보를 API 입력 파라미터 값에 맞도록 AI 재 가공하는 작업이 필요
프로젝트 성과
대화형, 음성형 UI/UX 챗봇
- 훨씬 더 편리한 자연어 기반 환경평가 기능 구현
API 사용 비용 70% 감소
- AI가 정보가 완전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물어보며 비용이 드는 API 이전 AI 챗봇이 기능을 구분해 무분별한 API 호출 감소
핵심 기능
AI 챗봇 생성 기능 개발
- OpenAI의 GPT-4o, GPT-4o-mini, GPT-o1으로 기능 개발
- 사용자 데이터 직접 학습 기능 및 AI 시스템 요구사항 상황 별 맞춤 Prompt 입력 기능 설계, 개발
- 사용자 데이터 직접 학습 기능 및 AI 시스템 요구사항 상황 별 맞춤 Prompt 입력 기능 설계, 개발
고객사 데이터 연동 API 기능 구현
- 고객사의 데이터와 환경평가 시스템 솔루션의 정보를 API를 통해 연동 개발
음성 입출력 인터페이스 개발
- STT, TTS를 통해 음성 입출력 인터페이스 개발
진행 단계
기획
2023.10.
1) 킥오프 미팅으로 요구사항 정의
2) 요구사항 기반 기능정의서 정의 및 공유
3) 기능정의서 기반 화면설계서 제작
4) 최종 기획 수정 및 컨펌
2) 요구사항 기반 기능정의서 정의 및 공유
3) 기능정의서 기반 화면설계서 제작
4) 최종 기획 수정 및 컨펌
디자인
2023.10.
1) 디자인 컨셉 요구사항 정의
2) 요구사항 기반 디자인 컨셉 3종 시안 제작 및 공유
3) 디자인 컨셉 기반 본 디자인 진행
4) 최종 디자인 수정 및 컨펌
2) 요구사항 기반 디자인 컨셉 3종 시안 제작 및 공유
3) 디자인 컨셉 기반 본 디자인 진행
4) 최종 디자인 수정 및 컨펌
개발
2023.11.
1) 기획 및 디자인 최종 결과물 기반 개발 일정 및 시스템 설계
2) 퍼블리싱 작업 및 프론트엔드 개발 진행
3) 설계 기반 백엔드 및 DB, 클라우드 환경 구성 진행
2) 퍼블리싱 작업 및 프론트엔드 개발 진행
3) 설계 기반 백엔드 및 DB, 클라우드 환경 구성 진행
테스트
2023.12.
1) 기획, 디자인 최종 결과물 기반 테스트 시나리오 구성
2) 내부 테스트 진행 및 수정 진행
3) 내부 테스트 통과 후 고객사 테스트 진행
4) 최종 프로젝트 수정 및 컨펌
2) 내부 테스트 진행 및 수정 진행
3) 내부 테스트 통과 후 고객사 테스트 진행
4) 최종 프로젝트 수정 및 컨펌
런칭
2023.12.
1) 최종 버전 기반 서비스 릴리즈 진행
2) 서비스 런칭에 필요한 제반사항 서포트
3) 최종 런칭 후 서비스 하자보수 진행
4) 추가적 요청사항에 따라 유지보수 협의
2) 서비스 런칭에 필요한 제반사항 서포트
3) 최종 런칭 후 서비스 하자보수 진행
4) 추가적 요청사항에 따라 유지보수 협의
프로젝트 상세
[프로젝트 종합 턴키 개발]
1) 기획, 디자인, 퍼블리싱, 개발, QA 모두 포함 턴키 개발
2) 웹 개발
3) ChatGPT
[프로젝트 배경]
1) 문제점
- 고려대 의대 환경평가 시스템 상 입출력 정보 입력 어려움으로 효용성이 떨어짐
- 나이 드신 분들이 많은 만큼, 대화형 챗봇, 음성형 챗봇으로 관련 정보 수집과 환경평가를 하길 원함
2) 프로젝트 목표
- AI 챗봇과 고려대 의대 고객사 환경평가 시스템 API 연동 개발
3) 주안점
- 음성 입력 기능을 통해 단순 텍스트 입력뿐 아니라 음성을 통해서도 입출력을 구현
- 다양한 정보를 자연어 입력받더라도 고객사 API에 연동해야 하기에 정보를 API 입력 파라미터 값에 맞도록 AI 재 가공하는 작업이 필요
[핵심 기능 요약]
1) AI 챗봇 생성 기능 개발
- OpenAI의 GPT-4o, GPT-4o-mini, GPT-o1으로 기능 개발
- 사용자 데이터 직접 학습 기능 및 AI 시스템 요구사항 상황 별 맞춤 Prompt 입력 기능 설계, 개발
2) 고객서 데이터 연동 API 기능 구현
- 고객사의 데이터와 환경평가 시스템 솔루션의 정보를 API를 통해 연동 개발
3) 음성 입출력 인터페이스 개발
- STT, TTS를 통해 음성 입출력 인터페이스 개발
[주요 성과]
1) 대화형, 음성형 UI/UX 챗봇
- 훨씬 더 편리한 자연어 기반 환경평가 기능 구현
2) API 사용 비용 70% 감소
- AI가 정보가 완전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물어보며 비용이 드는 API 이전 AI 챗봇이 기능을 구분해 무분별한 API 호출 감소
1) 기획, 디자인, 퍼블리싱, 개발, QA 모두 포함 턴키 개발
2) 웹 개발
3) ChatGPT
[프로젝트 배경]
1) 문제점
- 고려대 의대 환경평가 시스템 상 입출력 정보 입력 어려움으로 효용성이 떨어짐
- 나이 드신 분들이 많은 만큼, 대화형 챗봇, 음성형 챗봇으로 관련 정보 수집과 환경평가를 하길 원함
2) 프로젝트 목표
- AI 챗봇과 고려대 의대 고객사 환경평가 시스템 API 연동 개발
3) 주안점
- 음성 입력 기능을 통해 단순 텍스트 입력뿐 아니라 음성을 통해서도 입출력을 구현
- 다양한 정보를 자연어 입력받더라도 고객사 API에 연동해야 하기에 정보를 API 입력 파라미터 값에 맞도록 AI 재 가공하는 작업이 필요
[핵심 기능 요약]
1) AI 챗봇 생성 기능 개발
- OpenAI의 GPT-4o, GPT-4o-mini, GPT-o1으로 기능 개발
- 사용자 데이터 직접 학습 기능 및 AI 시스템 요구사항 상황 별 맞춤 Prompt 입력 기능 설계, 개발
2) 고객서 데이터 연동 API 기능 구현
- 고객사의 데이터와 환경평가 시스템 솔루션의 정보를 API를 통해 연동 개발
3) 음성 입출력 인터페이스 개발
- STT, TTS를 통해 음성 입출력 인터페이스 개발
[주요 성과]
1) 대화형, 음성형 UI/UX 챗봇
- 훨씬 더 편리한 자연어 기반 환경평가 기능 구현
2) API 사용 비용 70% 감소
- AI가 정보가 완전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물어보며 비용이 드는 API 이전 AI 챗봇이 기능을 구분해 무분별한 API 호출 감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