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터의 종류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FDM? DLP?) 3D 프린터에 WIFI를 통해서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REST API, RPC, 또는 독자적인 규격)가 마련되어있는지? 아니면 이도 개발 범위 포함인지? 슬라이서의 기능 범위가 무엇인지?(축 회전, 배율 조정 등이 포함되어야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G CODE 생성만 하는지) 3D 모델 파일 지원 범위가 어디까지인지(STL만, 또는 OBJ 등 타포맷도 지원해야하는지)
저는 DLP 3D 프린터 원격 제어 프로그램 개발 경험이 있습니다. 그때 당시 개발했던 기능은 1. 다수의 DLP 3D 프린터 상태 확인 2. 프린팅 상태를 카메라로 확인 및 일시중지, 취소, 재개 제어 3. 출력 파일 전송 기능 및 내부 저장소의 출력 파일 접근 기능 및 출력 시작 4. 해외의 DLP 프린터 가공 공장에서 사용 목적에 맞는 네트워크 세팅 기능 위와 같습니다.
2021.11.05. 오후 16:54
jo******
클라이언트
@joo1993문의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1. 3D프린터의 종류는 LCD 3D 프린터입니다. 2. wifi통신 인터페이스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기본적으로는 TCP/IP통신으로 생각하였으나, 미팅시 3D프린터 S/W 실무자와 선호하는 방식으로 협의가 가능합니다. 3. 참고 소프트웨어에 언급되어 있는 무료 S/W처럼 축 회전, 배율 조정등은 기본적으로 있어야 하며 서포트 생성하여 슬라이싱되어야 합니다. 4. 3D 메쉬 파일은 기본적인 stl, obj파일은 지원되어야 하며 협의에 따라 파일이 추가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저희가 3D 메쉬 모델링 관련한 상용 라이브러리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있어 그 라이브러리 사용하여 구현하여도 무방합니다. 그 외 일정과 금액은 추가 협의 가능합니다.
3D 프린터의 종류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FDM? DLP?)
3D 프린터에 WIFI를 통해서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REST API, RPC, 또는 독자적인 규격)가 마련되어있는지? 아니면 이도 개발 범위 포함인지?
슬라이서의 기능 범위가 무엇인지?(축 회전, 배율 조정 등이 포함되어야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G CODE 생성만 하는지)
3D 모델 파일 지원 범위가 어디까지인지(STL만, 또는 OBJ 등 타포맷도 지원해야하는지)
저는 DLP 3D 프린터 원격 제어 프로그램 개발 경험이 있습니다. 그때 당시 개발했던 기능은
1. 다수의 DLP 3D 프린터 상태 확인
2. 프린팅 상태를 카메라로 확인 및 일시중지, 취소, 재개 제어
3. 출력 파일 전송 기능 및 내부 저장소의 출력 파일 접근 기능 및 출력 시작
4. 해외의 DLP 프린터 가공 공장에서 사용 목적에 맞는 네트워크 세팅 기능
위와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