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일자 2020.11.03.
개발디자인
기획
기타
IoTㆍ블루투스
예상 금액
300,000,000원
금액 조율 가능
예상 기간
180일
기간 조율 가능
지원자 수
8명
모집 마감일
2020년 11월 17일
예상 시작일
계약 체결 이후, 즉시 시작
진행 분류
기획 상태
프로젝트 경험
협업 예정 인력
관련 기술
프로젝트 문의 14
사실 로라는 원거리의 데이터 양이 작은 경우에 즉 원격검침에 사용 가능 하구요... 음성 통신의 경우 데이터양이 작지는 않습니다. BLE로도, LORA로도 가능하지 않습니다... 그냥 무선 900mHz대 근거리 단말기 개발 하는 건데...
http://www.cableguy.com/shop/mall.php?cat=004017005&query=view&no=63778
이 제품이 원하시는 프로젝트 같은데요?
위의 분 의견에 부연 설명을 드리면,
Bluetooth로 2km 정도를 보내시려면, Bluetooth 5.0 Low Energy Long Range 를 사용하시면 되긴 하는데, 음성을 보낼 수 있는 속도가 안 나옵니다.
Bluetooth로 음성을 안정적으로 보내시려면, Bluetooth Classic 을 사용하시는게 좋은데, 개활지에서 최대 100m 정도까지는 나올 수 있으나, 그 이상을 나오기 힘들고, 동시 접속도 이론적으로 7명이 한계입니다(실제로는 더 어려움).
LoRa는 거리는 나오지만, 속도가 안 나오고요.
가능한 접근 방법은 시중에서 찾아볼 수 있는 무전기 쪽을 사용하시는 방법이 일단 있고,
LTE Cat.1 정도를 쓰실 수도 있는데, 수출까지 고려하신다면, 인허가 등의 문제가 복잡합니다.
음성 대신 메시지 정도만 보내는 것으로 한정하고, BLE Long Range를 사용하시는 방법도 있긴 합니다.
BLE5.x BLR를 사용하시면 LOS환경에서 사용하신다고 하더라도 2Km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출력을 높여서 사용하시면 되는데 20dbm이상은 허가가 나지 않습니다. 거리가 멀어지면 무선 특성상 1:N이면 안정성이 떨어지지 않을까 합니다.
윗분들이 설명을 잘 해주셨는데 우선 사용인원에 맞는 쓰루풋은 기대하기 힘들지 않을까 합니다. LTE CAT M.1은 인허가도 문제지만 CAT M.1도 쓰루풋을 감당하기 힘들겁니다. (1 MBps 급이기 때문에 BLE 5보다 더 낮습니다. )
2KM이내에서도 안정적인 동작을 원하시면 BLE보다는 LTE를 사용하는 게 맞으실 것 같고,
테스트는 2KM에서 하더라도 실제 사용환경의 거리를 조금 줄이고 BLE를 사용하신다면 음성-텍스트-음성으로 변환해가며 재생하는 방법이 맞는 듯 합니다. 아니면 1:N이더라도 푸시투토크의 방식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2KM에서 음성이 안정적인 무선통신은 어떤 주파수도 출력이 인증 허가 범위를 초과할 것같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거의 선두 국내기업이 S사의 제품인 것 같은데, 그룹 메쉬때문에 히트친 걸로 알고 있습ㄴ디ㅏ. 하지만 오토바이 운행중 바람소리나 환경 잡음에 대한 고민도 해보심이 좋을 것 같습니다. 해외시장까지 염두해 두신다면 200 MHz 대역이나 400 MHz 대역(정확한 건 다시 찾아봐야 함)의 디지털 무전기 기술이 훨씬 좋아보이는데요. DMR 기술로 충분히 가능할 것 같습니다. BT+DMR이면 구현 가능하지만, 위에서 말씀드린 바람소리와 같은 잡음 제거기술이 경쟁력이 될 것 같습니다.
wi******
클라이언트Pushtalk님,지원하시길 꼭 요청드립니다.혹시 지원하시거
되면상세프로젝트경력도 좀기재부탁드립니다.
성실답변설명감사드립니다.
의견 궁금점 언제든지 o.k입니디ㅡ.
블루투스의 경우 100미터이상의 통신에 문제가 있고 설령 가능하게 만들더라도 전파의 세기문제로
인증을 받기 힘듭니다.
로라와 NB-IoT의 경우 속도문제로 음성통신이 힘듭니다.
sub 1Ghz의 일반통신도 도심지역에서 사용시 속도가 느려져서 음성통신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LTE Cat M1의 경우 문서상으로 SKT에서 음성을 지원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지원을 안해줍니다.
이경우 서버를 구축해서 인터넷 전화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기지국간의 핸드오버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중에도 끊기지는 않겠네요.
예전에 많이 사용했던 LTE M1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LTE Cat M1보다 빠름)
기지국간 핸드오버도 지원되어 이동중에 끊기는것을 방지할 수 있고 통신속도도 빨라서 개발이 쉬울 듯합니다.)
수출을 고려할 경우도 대부분의 나라에서 LTE관련 통신은 지원해서 장점이 있습니다.
참고로 LTE관련 통신의 경우 칩으로 개발하게 되면 통신사 인증을 받는데 오래걸리므로
모듈형태의 제품으로 개발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로울듯합니다.
개발업체나 개발자를 찾기 보다는 우선적으로 기술 검토를 진행 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최대 range가 1키라고 되어 있는거는 안테나와 전력을 최대로 했을 경우 입니다.
안테나가 10dBi가 된다면 안테나 크기도 커여 합니다. 또한 10dBm 정도 되면
전력이 1W정도 될텐데
위 계산 모두 둘다 정지된 환경에서 방해되는 건물같은 이물질이 없을 경우로 알고 있습니다.
https://www.bluetooth.com/ko-kr/learn-about-bluetooth/bluetooth-technology/range/
위 공식 기술 싸이트 명시 되어 있습니다.
비밀 댓글입니다.
비밀 댓글입니다.
wi******
클라이언트어떻게그회사제푸을
잘아시는지를간단본인소개,개발경력,개발모델등
저랑 공유하실수있나요?죄송합니다
음성 딜레이는 어느정도... 인정하시나요?
워키토키형 음성전달을 허용하는지요?
(말하는 사람이 버튼을 누르는 방식)
워키토키형 음성전달을 허용한다면, 한번 이야기할 때 최대 시간은 몇초인지?
wi******
클라이언트아네.본인이가장잘할수있는업무만알려주실수있나요?mesh인터콤 블루투스인터콤 관련해서요?
개발 · 기획
PC 프로그램 외 2개
기타
개발
웹 외 1개
기타(AIㆍ머신러닝)
디자인 · 기획
기타
기획서ㆍ제안서 등 외 2개
디자인
기타
그래픽ㆍ영상 등
개발
PC 프로그램 외 1개
SaaSㆍ솔루션
BLE통신으로는 1-2km은 커버 불가 합니다... LoRa를 생각 하심이 좋을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