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담당 매니저 김수민입니다.
기간제(상주) 프로젝트 희망 근무 시작일을
등록해 주시면, 파트너님의 일정에 맞는
적합한 프로젝트를 추천해 드려요.
모집 마감
외주

등록 일자 2020.11.03.

1:N 인터콤 기능의 BLE 통신 장비 개발

개발디자인기획

기타

IoTㆍ블루투스

예상 금액

300,000,000원

금액 조율 가능

예상 기간

180일

기간 조율 가능

지원자 수

8명

모집 마감일

2020년 11월 17일

예상 시작일

계약 체결 이후, 즉시 시작

진행 분류

기획 상태

프로젝트 경험

협업 예정 인력

관련 기술

Android
BLE
embedded
iOS
PCB
기구설계
기획
제품디자인
회로설계

업무 내용

제품 개요 :
- 사람들이 그룹으로 움직일 때 다자간 대화가 가능한 장비입니다.
- 자건거, 오토바이, 공사장 등 야외 레저 혹은 작업용 헬멧에 부착하는 형태입니다.
- 1 대 N 프로토콜 기반 (예를 들어 인터콤 INTERCOM 기능) 의 블루투스 통신 장비 개발 업무입니다.

프로젝트 우선순위 :
- 완성도 높은 산출물을 받아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사전 검증 질문

지원서 작성시 클라이언트의 질문에 답변해 주세요.

미팅

사전 미팅 방식

진행 중 미팅

클라이언트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프로젝트 문의 14

BLE통신으로는 1-2km은 커버 불가 합니다... LoRa를 생각 하심이 좋을 듯...

2020.11.03. 오후 14:11

wi******

@testopia안녕하세요제안감사드립니다.. 좀더구체의견을주실수있으세요?본인유사경험도 있으신지궁금합니다^^

2020.11.03. 오후 14:31

@testopiaLora는 이동체에서 데이터 유실이 매우 심합니다.

2020.11.05. 오후 17:23

사실 로라는 원거리의 데이터 양이 작은 경우에 즉 원격검침에 사용 가능 하구요... 음성 통신의 경우 데이터양이 작지는 않습니다. BLE로도, LORA로도 가능하지 않습니다... 그냥 무선 900mHz대 근거리 단말기 개발 하는 건데...

2020.11.03. 오후 14:39

wi******

@testopia1대n 다중통화가능한 단말기라함은
헤드셋의미하시나요?스피커오디오기능모두달린?

2020.11.03. 오후 15:23

http://www.cableguy.com/shop/mall.php?cat=004017005&query=view&no=63778
이 제품이 원하시는 프로젝트 같은데요?

2020.11.04. 오후 21:18

wi******

@killerQ1976알려주신싸이트찾아갔더니케이블같은데요?
정확히 선생님께서는어떤제품으로이해하셧는지
알려주시겟읍니까?

2020.11.05. 오전 10:30

@wi******
[163778]SENA(세나) 블루투스(무선 최대2Km,8명동시연결가능) 인터컴(헤드셋) [20S]
이거입니다.

2020.11.05. 오후 14:00

wi******

@killerQ1976아네,감사합니다. 혹시 말씀하신
해당제품에대해
좀더설명해주실수있으세요?

2020.11.05. 오후 15:32

위의 분 의견에 부연 설명을 드리면,
Bluetooth로 2km 정도를 보내시려면, Bluetooth 5.0 Low Energy Long Range 를 사용하시면 되긴 하는데, 음성을 보낼 수 있는 속도가 안 나옵니다.
Bluetooth로 음성을 안정적으로 보내시려면, Bluetooth Classic 을 사용하시는게 좋은데, 개활지에서 최대 100m 정도까지는 나올 수 있으나, 그 이상을 나오기 힘들고, 동시 접속도 이론적으로 7명이 한계입니다(실제로는 더 어려움).
LoRa는 거리는 나오지만, 속도가 안 나오고요.
가능한 접근 방법은 시중에서 찾아볼 수 있는 무전기 쪽을 사용하시는 방법이 일단 있고,
LTE Cat.1 정도를 쓰실 수도 있는데, 수출까지 고려하신다면, 인허가 등의 문제가 복잡합니다.
음성 대신 메시지 정도만 보내는 것으로 한정하고, BLE Long Range를 사용하시는 방법도 있긴 합니다.

2020.11.05. 오전 11:02

wi******

@h3system안녕하세요?말씀의하면 본제품관련하여,
매우구체적이고현실적이라는생각듭니다.시장과기술을잘아시는분같아보입니다.
경쟁력있는제품을만들고자
아이디어구상중인데 관심있으시다면
지원해보시길제안드립니다.인재및제품에
투자용의가 충분이 있읍니다

2020.11.05. 오후 12:59

wi******

@h3systemH3system님,본프로젝트관심 및 지원에감사드립니다.부탁드리고자하는것은 지원하신 프로필에
그간프로젝트 실적, 경력 기재요청드려도될까요?
소개가능하신만큼요.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2020.11.06. 오후 13:08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06. 오후 13:24

wi******

@h3system네경력이훌륭하십니다.감사합니다.
혹시1대N 인터컴(mesh,bluetooth) 장비개발프로젝트관련경험있으시면 유관경험을 기술부탁드려도될까요?

2020.11.06. 오후 13:47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06. 오후 14:01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06. 오후 14:19

wi******

@h3system다른분 말씀에따르면,
인터콤장비선두라는S사제품은mesh 인터컴,블루투스인터컴 모두 출시해
인기라던데요,
말씀하신mesh인터컴 아직 기술적으로개선여부가 많나요? 그럼 대체기술(통신거리,,속도, 품질모두)은
무어라생각합니까?

2020.11.06. 오후 16:00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06. 오후 16:36

wi******

@h3systemBluetooth classic 고출력으로 사용해,
음성을 최대화한단말씀이네요.
근데 이경우. 말씀내용보면,
100m 거리밖에안된다하셧는데요,
약2km거리로확대하려면ble classic아닌.
무전기통신방식사용해야한다는거죠?
이동중 음성노이즈 해결은 어떤방법으로해결하엿을까요?

2020.11.06. 오후 17:17

wi******

@h3systemBluetooth classic 고출력으로 사용해,
음성을 최대화한단말씀이네요.
근데 이경우. 말씀내용보면,
100m 거리밖에안된다하셧는데요,
약2km거리로확대하려면ble classic아닌.
무전기통신방식사용해야한다는거죠?
이동중 음성노이즈 해결은 어떤방법으로해결하엿을까요?

2020.11.06. 오후 17:17

wi******

@h3systemBluetooth classic 고출력으로 사용해,
음성을 최대화한단말씀이네요.
근데 이경우. 말씀내용보면,
100m 거리밖에안된다하셧는데요,
약2km거리로확대하려면ble classic아닌.
무전기통신방식사용해야한다는거죠?
이동중 음성노이즈 해결은 어떤방법으로해결하엿을까요?

2020.11.06. 오후 17:17

wi******

@h3systemBluetooth classic 고출력으로 사용해,
음성을 최대화한단말씀이네요.
근데 이경우. 말씀내용보면,
100m 거리밖에안된다하셧는데요,
약2km거리로확대하려면ble classic아닌.
무전기통신방식사용해야한다는거죠?
이동중 음성노이즈 해결은 어떤방법으로해결하엿을까요?

2020.11.06. 오후 17:17

wi******

@wi******뭘잘못눌럿나봅니다.죄송합니다

2020.11.06. 오후 17:19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06. 오후 18:30

BLE5.x BLR를 사용하시면 LOS환경에서 사용하신다고 하더라도 2Km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출력을 높여서 사용하시면 되는데 20dbm이상은 허가가 나지 않습니다. 거리가 멀어지면 무선 특성상 1:N이면 안정성이 떨어지지 않을까 합니다.
윗분들이 설명을 잘 해주셨는데 우선 사용인원에 맞는 쓰루풋은 기대하기 힘들지 않을까 합니다. LTE CAT M.1은 인허가도 문제지만 CAT M.1도 쓰루풋을 감당하기 힘들겁니다. (1 MBps 급이기 때문에 BLE 5보다 더 낮습니다. )
2KM이내에서도 안정적인 동작을 원하시면 BLE보다는 LTE를 사용하는 게 맞으실 것 같고,
테스트는 2KM에서 하더라도 실제 사용환경의 거리를 조금 줄이고 BLE를 사용하신다면 음성-텍스트-음성으로 변환해가며 재생하는 방법이 맞는 듯 합니다. 아니면 1:N이더라도 푸시투토크의 방식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2KM에서 음성이 안정적인 무선통신은 어떤 주파수도 출력이 인증 허가 범위를 초과할 것같습니다.

2020.11.05. 오후 17:26

@zzang21kBLE Long range 에 출력을 8 dBm 정도로 맞추면, 개활지 2 km 정도는 가능하다고 봅니다. 실제 0 dBm 에서 수 백 미터 정도 가는 것을 실제 테스트해봤고요. N 사의 시험 결과를 보면 4 km 까지도 간다고 하더군요. LTE Cat. M1은 속도가 좀 안 나오긴 하죠(BLE default PHY 가 1 Mbps 이라서 동일합니다만). 그래서, Cat. M1 말고 한 등급 위인 Cat. 1 정도는 써야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참고로 음성 데이터는, 이론적으로는 56 kbps 정도면 됩니다만, 실제 운용 시에는 마진을 좀 많이 잡아야 해서...

2020.11.06. 오후 12:03

이 프로젝트의 거의 선두 국내기업이 S사의 제품인 것 같은데, 그룹 메쉬때문에 히트친 걸로 알고 있습ㄴ디ㅏ. 하지만 오토바이 운행중 바람소리나 환경 잡음에 대한 고민도 해보심이 좋을 것 같습니다. 해외시장까지 염두해 두신다면 200 MHz 대역이나 400 MHz 대역(정확한 건 다시 찾아봐야 함)의 디지털 무전기 기술이 훨씬 좋아보이는데요. DMR 기술로 충분히 가능할 것 같습니다. BT+DMR이면 구현 가능하지만, 위에서 말씀드린 바람소리와 같은 잡음 제거기술이 경쟁력이 될 것 같습니다.

2020.11.05. 오후 18:11

wi******

@pushtotalk흥미로운제안으로들립니다.말씀도중에,
좀더찾아보셔야한다고햇는데요,
찾아보시고추가의견 좀 더주시면 어떨까요?

2020.11.05. 오후 19:56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05. 오후 22:30

wi******

@pushtotalk1.인터컴메쉬라는게 뭔지잘모르겟으나 독자적 그룹다자통신망을 의미하는건가요?
2.선두주자라는회사제품은 말씀하신DMR기술을
사용한게아닌건가요?
3.DMR기술채용 다중통화장비제품개발시,
기존제품보다차별화된,즉 더 개선된다
다중통화장비제품이라고이해하면되나요?
질문많아죄송합니다
독자적기

2020.11.06. 오전 09:17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06. 오전 09:43

wi******

@pushtotalk항목3이 가장 흥미롭습니다.
귀하는DMR전문같으신데요,
mesh 인터컴장착 제품개발도 가능하신건가요?

2020.11.06. 오후 12:14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06. 오후 12:21

wi******

@pushtotalk사실 모든 경우를수 다 열어놓고있읍니다.
제품개발,프로젝트투자 원칙은요,
1.기존제품과차별화 가능해야하겟죠.(경쟁력)
2.또 실제개발완료(양산포함)가능한 제품이어야하구요.
3.투자는 현재 전혀 문제없습니다.
요청사항.그러니 그간경력지식바탕으로 지원해보심 어떠세요?혹시SW,HW중어느쪽전문이신가요?

2020.11.06. 오후 12:31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06. 오후 12:57

wi******

@pushtotalk좋은말씀감사합니다.
언급하신내용중에서
선두회사라는곳의 장단점분석,이의 차별화제품 개발가능성 여부 분석하시는일도포함되나요?

2020.11.06. 오후 13:18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06. 오후 13:25

wi******

@pushtotalk그럼대략언제쯤다시연락주실수있으신가요?

2020.11.06. 오후 13:44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06. 오후 13:47

wi******

@pushtotalk너무시간에 구애받지마시고요,
준비되시는대로 말씀해주시기바랍니다.
우선본프로젝드 지원신청부터해놓으시면어떨까요?
(벌써부터 기대가됩니다.)

2020.11.06. 오후 13:51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06. 오후 13:55

wi******

@ubiwaveubiwave님,,
pushtotalk아이디랑
같으신분인가요?

2020.11.06. 오후 14:00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06. 오후 14:03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06. 오후 14:05

wi******

@pushtotalk아네.감사합니다.

2020.11.06. 오후 14:07

wi******

Pushtalk님,지원하시길 꼭 요청드립니다.혹시 지원하시거
되면상세프로젝트경력도 좀기재부탁드립니다.
성실답변설명감사드립니다.
의견 궁금점 언제든지 o.k입니디ㅡ.

2020.11.06. 오후 12:42

블루투스의 경우 100미터이상의 통신에 문제가 있고 설령 가능하게 만들더라도 전파의 세기문제로
인증을 받기 힘듭니다.
로라와 NB-IoT의 경우 속도문제로 음성통신이 힘듭니다.
sub 1Ghz의 일반통신도 도심지역에서 사용시 속도가 느려져서 음성통신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LTE Cat M1의 경우 문서상으로 SKT에서 음성을 지원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지원을 안해줍니다.
이경우 서버를 구축해서 인터넷 전화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기지국간의 핸드오버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중에도 끊기지는 않겠네요.
예전에 많이 사용했던 LTE M1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LTE Cat M1보다 빠름)
기지국간 핸드오버도 지원되어 이동중에 끊기는것을 방지할 수 있고 통신속도도 빨라서 개발이 쉬울 듯합니다.)
수출을 고려할 경우도 대부분의 나라에서 LTE관련 통신은 지원해서 장점이 있습니다.
참고로 LTE관련 통신의 경우 칩으로 개발하게 되면 통신사 인증을 받는데 오래걸리므로
모듈형태의 제품으로 개발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로울듯합니다.

2020.11.10. 오전 10:07

@ghkang2002참고로 LTE계열로 개발하게 되면 통신비용이 발생되고 통달거리는 LTE커버리지와 같습니다.

2020.11.10. 오전 10:10

@ghkang2002전에 개발을 했을 때 음량을 키우면 스피커소리가 마이크로 다시 들어가는 문제가 있었던것같습니다.
노이즈 캔슬링 문제도 있었구요.
그때는 블루투스 클래스 1으로 7개 까지 통신을 했었습니다. 개활지에서는 100미터가 넘어도 문제가 없었으나
실내나 도심의 경우 거리가 많이 단축되었죠.

2020.11.10. 오전 10:37

wi******

@ghkang2002좋은말씀감사합니다.전에인터콤장비개발겅험이있으시다구요?좀더구체적으로 설명부탁드려도될까요?어떤장비,모델이었나요?mesh 인터콤이었나요?또통신거리는요?감사합니다

2020.11.10. 오후 15:23

@wi******인터콤과는 약간 다른 Bluetooth VoIP 전화기 였습니다.
물론 블루투스의 한계로 통달거리는 100미터 정도였고 실내에서 벽이 있는경우 더 짧았습니다.
(1개의 스테인션에 7개의 전화기가 연결된 형태)
mesh 인터콤은 아녔습니다.
2km이상을 mesh network으로 묶으려면 sub 1Ghz밖에 방법이 없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속도가 100kbps라고해도 10kbps의 음성을 보내기는 힘들어요.
통신의 상태가 아주 짧은 순간만 안좋아도 바로 소리가 왜곡되거나 끊길 수 있고
지연시간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데이터 통신은 문제가 안되는 것이 음성통신에서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거죠.
또한 ISM밴드가 나라마다 틀려서 수출하려면 문제가 될 수 있죠.
위에 쓰신 업무내용을 읽어보면 LTE가 가장 좋은 대안갔습니다.
LTE Cat M1이 음성을 보내기에는 대역폭이 충분한 것으로 생각될 수 있으나
개발의 실패를 방지하려면 좀더 빠른 LTE M으로 가는 것이 좋을 것같습니다.
전력소모도 적어서 배터리로 동작하기에 문제도 없고요.
핸드오버가 되니 이동하면서도 계속 통화가 가능하죠.
물론 다자간 통화를 위해서는 서버는 필히 만들어야 할것같습니다.
서버가 있으면 20명이 아니라 더 많은 단말들이 동시에 한개의 망에 연결되어 통화가 가능합니다.
물론 LTE망을 쓰기 때문에 통달거리에 문제는 없습니다.
월 이용료가 나가요.(그래도 휴대전화 요금보다는 싸죠)
수출할때도 해당나라 통신사 인증을 받은 모듈을 사용하게 되면 소프트웨어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죠. 인증시간도 단축되고요.
음성을 얼마나 선명하게 전달할꺼냐에 따라 예전 디지털 전화기에서 사용되던
G.711이나 729를 쓸꺼냐 아니면 좀더 선명한 음질을 전달 할 수있는 G.726을 선택하느냐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제가 설명드린 방법은 mesh network을 사용하는 방법이 아니고
일반적인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방식입니다.
만약 국내에서만 사용하시려고하면 SIP서버를 운영하는 업체를 이용하면 쉽겠네요.

2020.11.10. 오후 16:34

wi******

@ghkang20021.2km범위내 그룹간 동시 다자통화가능하고.
통화품질도 좋아야 경쟁력이있는건가요?
2.혹시 야외의 헬멧(자전거,스쿠터등)에 착용(외장,내장)가능할까요?

2020.11.10. 오후 17:32

@wi******1. 다자간 통화
LTE M을 사용하고 중간에 서버가 있으면 다자간 통화는 문제가 안됩니다. 심지어 100명도 문제가 안됩니다.
구글에 "SIP VoIP"를 검색해보시면 자세한 설명이 나옵니다.
(가정이 아니고 실제로 그렇습니다.)

2. 통달거리
통화거리는 위에 설명한 대로면(LTE M사용시) 문제가 안되죠.
데이터 로밍이 되는지역이라면 외국에 있어도 되겠죠.
(다만 외국에 있으면 통신지연으로인해 음성도 같이 지연되겠죠)

3. 통화품질
LTE M을 사용할 경우 통화품질이 좋으면 유지비용도 비싸집니다.
일반적으로 8kbps정도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코덱의 경우 유선전화와 비슷한 품질을 갖습니다.
당연히 통화품질이 좋으면 경쟁력도 좋겠죠. 그냥 단순히 생각해봐도 그렇습니다.
그런데 무작정 통화품질을 높일경우 유지비용이 비싸지니까 잘 선택하셔야 합니다.
40kbps 비트레이트를 갖는 G.726을 사용하면 정말 끝내주죠. 유지 비용이 문제죠

4. 데이터 사용량
몇 밀리초 주기로 데이터를 보내느냐에 따라 데이터양이 변하는데 이유는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 헤더라는 데이터가 붙는데 자주 보낼 수록 이것이 차지하는 데이터양이 증가합니다.
대충 계산해보면 (H.726 40kbps코덱을 UDP에 보낼경우, 통화품질 최상)
1시간 통화에 22Mbyte
100시간 통화면 2Gbyte겠네요.
8kbps 코덱을 사용하면 데이터량이 많이 줄어들겠죠.

5. 크기
크기는 LTE M모듈의 경우 35 x 35 x 4mm정도 되고 (통신을 하는 부분의 크기)
음성코덱과 그 음성코덱을 실제소리로 바꿔주는 부분이 25 x 25 x 3mm 정도 될것같고(음성처리 부분)
충전부분은 10 x 10mm이하도 가능하며 거기에 보호회로가 들어가면 크게 잡아도 70 x 50 x 5mm
배터리를 포함하게되면 70x50x14mm정도 될것같습니다. (케이스 포함)
두께를 줄이면 더 넓어지겠죠 (배터리가 PCB옆으로 들어가야 하므로)
한번 충전에 몇일이나 사용할 것인지 연속통화시간은 얼마나 되는지에 따라 배터리의 크기가 달라지니까
제품 크기는 가변되겠네요.
크기부분을 정리해서 말하면 잘 설계된 제품이라면 외장이건 내장이건 신경쓸 크기는 아니라는 겁니다.
무게도 100그람정도를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6. 인증
통신사 인증 : 통신사인증을 받은 모듈을 사용하고 내부를 건들지 않으면 통신사 인증은 없습니다.
전자파인증
무선인증 : 무선인증이 있는 모듈을 사용해도 조립돈 상태의 제품으로 무선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KC인증
아마 이정도 인증을 받아야 겠네요.

7. 사족
동작하는 것과 팔수있는 것은 완전히 다릅니다.
잘 동작한다고 팔수있는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이것이 인증까지 받았다면
양산이라는 것이 기다립니다.
그냥 공장에 맞기면 되지... 물론 그렇게 해도 되겠지만
관리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큽니다.
그리고 영업이 있겠네요.. 영업이 제일 중요하죠.

시간이 급한 과제가 아니라면
더 알아보고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같습니다..

미천한 지식이지만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2020.11.10. 오후 21:08

wi******

@ghkang2002좋은말씀감사합니다.어느분말씀에 세나라는 회사가비슷한 인터콤 장비제품판매하고이 있다합니다.이제품을 혹시 세부분석가능하신가요?

2020.11.10. 오후 21:25

wi******

@ghkang2002좋은말씀감사합니다.어느분말씀에 세나라는 회사가비슷한 인터콤 장비제품판매하고이 있다합니다.이제품을 혹시 세부분석가능하신가요?

2020.11.10. 오후 21:25

@wi******제가 설명한 제품과 완전히 다른 제품이네요
음성을 블루투스 메시를 사용해서 전송하는 방식인데요.
블루투스는 전파의 세기에 따라 분류하면 크게 4가지로 나누어집니다.
Class1이 가장 멀리 통신을 할 수있고
Class4의 경우는 초단거리 통신이 가능해서 통신가능거리가 50센치미터밖에 안됩니다.
전에 class 1을 사용했을때 안테나를 pcb 패턴으로 구현했을 했는데(안테나 게인이 얼마였는지 기억은 안나요) 개활지에서 100미터 넘게 통신이 되었죠.
세나에서는 여기에 게인이 높은 외장형안테나를 사용해서 전파간섭이 없는 개활지에서 2km까지 통신이 가능하다고 선전을 하는데
이것은 말그대로 영업전략이죠.
개활지라고 하더라도 사람머리로 가려지고 헬멧까지 착용하면 통신거리는 반절로 줄어들고 도심이라면 이것의 반이하로 줄어들고 건물이 가리고 있다면 200미터 이하의 통달거리를 예상합니다. 안테나가 좋아도 블루투스는 블루투스니까요
실사용 거리가 2km라면 공사현장에서 무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이 제품을 사용할 듯합니다.
작은 제품에 배터리 사용시간도 8시간이네요. 이것은 그냥 수신감도가 우수한 블루투스 모듈에 안테나 게인이 높은 것을 사용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WiFi mesh라면 더 멀리 더 선명하게 더 많은 단말을 하나의 메시네트웍에 넣을 수 있어요.
단점은 블루투스보다 전기를 더 사용하죠.

2020.11.10. 오후 22:17

wi******

@ghkang2002짧은시간 대단하십니다.본프로젝트
요점은 기존 선두급인
메시인터콤, 블루투스인터콤 장비를 능가하는 기능에다가, 헬멧에 부착가능한 인터콤장비를개발하고자함이 목적입니다.동참의지가있으시다면 본인소개및인터콤관련장비개발경력,신규인터콤개발아이디어,포트폴리오를 준비하시어 지원해주시기바랍니다.
지원하신다면 한번 뵙고싶습니다.

2020.11.10. 오후 22:34

개발업체나 개발자를 찾기 보다는 우선적으로 기술 검토를 진행 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최대 range가 1키라고 되어 있는거는 안테나와 전력을 최대로 했을 경우 입니다.
안테나가 10dBi가 된다면 안테나 크기도 커여 합니다. 또한 10dBm 정도 되면
전력이 1W정도 될텐데

위 계산 모두 둘다 정지된 환경에서 방해되는 건물같은 이물질이 없을 경우로 알고 있습니다.
https://www.bluetooth.com/ko-kr/learn-about-bluetooth/bluetooth-technology/range/

위 공식 기술 싸이트 명시 되어 있습니다.


2020.11.10. 오전 10:08

wi******

@wymoon2690좋은말씀입니다.이미공지한대로아직아이디어수준입니다.
시중 인터콤장비와 비교시 우위장비를 개발함에목적있는바,또투자를아끼지않을생각입니다.
귀하께서 이런목적에동참하여 기술검토또는
제안가능하시다면 만나서구체적으로듣고싶습니다
좀더개선,경쟁력있는기능,,

2020.11.10. 오후 15:18

@wi******위시켓에 연락 주시면 미팅 연결 가능 합니다.

2020.11.13. 오전 10:44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11. 오후 14:39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11. 오후 15:04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11. 오후 15:39

wi******

어떻게그회사제푸을
잘아시는지를간단본인소개,개발경력,개발모델등
저랑 공유하실수있나요?죄송합니다

2020.11.11. 오후 15:43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11. 오후 16:13

wi******

@antsome관심갑니다.그럼 개발완료,양산출시된
모델도있으시나요?

2020.11.11. 오후 16:45

wi******

@antsome사정그러시다면우선지원하시기바랍니다.
지원하시게되면 저희도어떤분이신지개발경력등보고미팅 요청할테니지원시 성의껏 본인소개해주실수있나요?
감사합니다.

2020.11.12. 오후 14:13

음성 딜레이는 어느정도... 인정하시나요?
워키토키형 음성전달을 허용하는지요?
(말하는 사람이 버튼을 누르는 방식)
워키토키형 음성전달을 허용한다면, 한번 이야기할 때 최대 시간은 몇초인지?

2020.11.12. 오후 13:38

wi******

@remotecMesh intercom과 bluetooth intercom기능기순조합한
시중장비이나와있다하니 참조하시면어떨까합니다.현재워키토키보턴신통화기능을 장착한걸로알고있읍니다

2020.11.12. 오후 14:16

@wi******저가 물어 본건, 다른 기능을 제거하고 워키토기형 음성 전달만 해도 되는지를 물어보는 겁니다.
실기간 양방향 통신은 현재, 위에서 이야기하듯이, 어려워.....

2020.11.12. 오후 14:22

wi******

아네.본인이가장잘할수있는업무만알려주실수있나요?mesh인터콤 블루투스인터콤 관련해서요?

2020.11.12. 오후 18:22

모집 중인 다른 프로젝트

예상 금액10,000,000원
예상 기간60일

개발 · 기획

PC 프로그램 외 2개

기타

📔외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  등록일자 2025.06.26.
예상 금액40,000,000원
예상 기간90일

개발

웹 외 1개

기타(AIㆍ머신러닝)

📔외주
서울특별시 마포구
·  등록일자 2025.06.27.
예상 금액5,000,000원
예상 기간41일

디자인 · 기획

기타

기획서ㆍ제안서 등 외 2개

📔외주
3D printingetc하우징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  등록일자 2025.06.30.
예상 금액250,000원
예상 기간1일

디자인

기타

그래픽ㆍ영상 등

📔외주
서울특별시 강남구
·  등록일자 2025.06.30.
예상 금액3,200,000원
예상 기간365일

개발

PC 프로그램 외 1개

SaaSㆍ솔루션

📔외주
LinuxPythonUbuntushellscript
서울특별시 송파구
·  등록일자 2025.06.30.
프로젝트 지원하기
로그인하여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내 프로젝트의
적정 견적이 궁금하신가요?
등록 후 상담받기

나와 비슷한 프로젝트는
어떻게 진행했을까?

유사사례 검색 AI

비슷한 내용으로 상담받기
1:N 인터콤 기능의 BLE 통신 장비 개발
예상 금액
300,000,000원
예상 기간
180일
Android BLE embedded iOS PCB 기구설계 기획 제품디자인 회로설계
제품 개요 : - 사람들이 그룹으로 움직일 때 다자간 대화가 가능한 장비입니다. - 자건거, 오토바이, 공사장 등 야외 레저 혹은 작업용 헬멧에 부착하는 형태입니다. ...
등록한 프로젝트는 바로 공개되지 않으며, [검수 중] 메뉴에서 수정가능합니다.